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경제성장률3

OECD 2021년 한국 경제 3.3% 성장 전망 OECD에서 3월 9일 화요일, 중간 경제전망을 발표했습니다 보통 본 전망은 매년 5월, 11월 2번, 중간전망은 3월 9월에 발표합니다. 기획재정부의 보도자료와 OECD Economic Outlook 리포트 중심으로 이야기하겠습니다. 자세한 리포트 내용은 www.oecd.org/economic-outlook/에서 확인 가능하십니다. OECD는 2020년 세계 경제가 -3.4%로 역성장 했고, 2021년에는 5.6%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 지난 12월 4.2% 성장을 전망했는데 1.4% 상향 조정 된 부분입니다. 2020년 세계 경제는 생산과 교역이 어느정도 회복되면서 역성장의 폭을 좁혔지만 고용 회복이 더딘 것으로 봤습니다. 2021년에는 주요 국가의 재정 부양책으로 성장세 확대가 보이며, 백신 .. 2021. 3. 10.
경제 | 2020년 2분기 국내 총생산 발표 우리나라 2020년 2분기 GDP 성장률은 2008 년 금융위기를 넘어서 1998 년 IMF 사태 다음으로 나쁜 성적이었습니다. 전분기대비 -3.3%였고, 전년대비로는 -2.9%에 달했습니다. 시장 컨센서스 -2.3%를 하회한 수준입니다. 코로나19로 정부차원에서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하면서 민간 소비가 부진했고, 제조업체들은 가동률을 낮추면서 출하를 조절했던 영향이 크게 반영되었습니다. 하반기는 +로 전환할 것으로 보지만 코로나19의 진행 상황과, 사회적 거리두기를 어떻게 완화 시키는가가 중요한 포인트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 IMF에서 우리나라 2020년 경제성장률을 -2.1%로 성장률 전망을 낮췄고, OECD는 -1.2% 성장을 전망하고 있습니다. 이번 2020년 2분기는 코로나19의 영향이 .. 2020. 7. 24.
ASSET | 추경과 채권 발행의 영향 코로나19로 실물경기가 악화되고 있는 것이 현실화 되고, 강도가 더 세지고 있는 4월 정부는 비상경제회의를 계속 개최하고 있습니다. 4월 22일 5차 비상경제회의가 개최되었고 1) 고용안정 특별대책 2) 기업 안정화 대책을 발표했습니다. 고용 안정에 대책에 필요한 재원 10.1조원 중 9.3조원은 3차 추경에서 적자국채를 발행해서 마련하고 항공, 해운, 자동차 등 우리나라의 핵심 기간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40조원 한도의 기간산업안정기금을 산업은행에 설치하기로 한 것이 주요 내용입니다. 이번 기간산업안정기금, 기금채권은 정부가 보증하고, 5년 간 한시로 운용되고 채권 발행규모는 기업들의 자금 수요에 따라 정해진다고 합니다. 예상을 넘어선 채권 공급 부담 1997년 IMF 위기 직후 예금보험기금과 부실채권정.. 2020. 4. 27.
반응형